반응형 직업선택2 KSTUDY<직업상담> 직업선택의 결정모형_처방적 직업결정/생각하는 모자 알아보기 (2) 처방적 직업결정 모형- 사람들로 하여금 직업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실수를 감소시키고, 보다 나은 직업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우려는 이론- 카츠의 모형 ▸ 직업결정자는 자신의 특성요인을 나열 및 개발하고 이들 간의 가치와 중요도에 따라 비교해보며, 그 특성에 맞는 대안을 선택하고 그 대안이 제공하는 보수에 따라 평가하여야 한다고 주장 - 겔라트의 모형 ▸ 직업선택의 결과보다는 그 선택 과정을 중시, 직업정보 3차원 체계(예언적 체계, 가치체계, 결정준거) ▸ 직업의사결정 과정 : 목적의식(목표의식) - 정보수집 – 대안열거 – 대안의 결과 예측 – 대안의 실현 가능성 예측 – 가치평가 – 의사결정 – 평가 및 재투입 - 칼도와 쥐토우스키의 모형 ▸ 직업선택과 투입 또는 입력의 가치를 평가하려는 직업.. 2025. 1. 26. KSTUDY<직업상담> 직업선택의 결정모형_기술적 직업결정 알아보기 (1) 기술적 직업결정 모형- 타이드만과 오하라의 모형 ▸진로발달을 개인의 자기정체감 분화, 발달과업 수행, 심리사회적 위기 해결의 지속적인 과정 , 직업선택을 결정하는 기간 : ‘기대의 기간(예상기)’ , ‘실행 및 조정의 기간(실천기)’ 자기정체감을 지속적으로 구별해 내고 발달과제를 처리하는 과정으로 진로발달단계를 설명, 시간의 틀 내에서 개념화 - 힐튼의 모형 ▸ 인간이 복잡한 정보에 접근하게 되는 구조에 근거를 둔 이론 진로결정 과정을 자신이 세운 계획과 전제 간의 불일치점 혹은 불균형점을 조사 및 시험해 보고, 이들간의 부조화가 없을 때 현재 계획을 행위화시키는 과정으로 설명한다. 직업선택결정 단계를 전제단계, 계획단계, 인지부조화 단계로 구분 · 전제단계 : 직업을 선택하기 이전의 주변세계에.. 2025. 1. 2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