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술적 직업결정 모형
- 타이드만과 오하라의 모형
▸진로발달을 개인의 자기정체감 분화, 발달과업 수행, 심리사회적 위기 해결의 지속적인 과정 ,
직업선택을 결정하는 기간 : ‘기대의 기간(예상기)’ , ‘실행 및 조정의 기간(실천기)’
자기정체감을 지속적으로 구별해 내고 발달과제를 처리하는 과정으로 진로발달단계를 설명, 시간의 틀 내에서 개념화
- 힐튼의 모형
▸ 인간이 복잡한 정보에 접근하게 되는 구조에 근거를 둔 이론
진로결정 과정을 자신이 세운 계획과 전제 간의 불일치점 혹은 불균형점을 조사 및 시험해 보고, 이들간의 부조화가 없을 때 현재 계획을 행위화시키는 과정으로 설명한다.
직업선택결정 단계를 전제단계, 계획단계, 인지부조화 단계로 구분
· 전제단계 : 직업을 선택하기 이전의 주변세계에 대해 조사하는 시기
· 계획단계 : 특정 직업에서 요구하는 행동을 상상하는 시기
· 인지부조화 단계 : 자신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반대되는 직업을 갖게 됨으로써 생겨나는 행동을 시험해 보는 시기
- 브룸의 모형
▸ 균형 : 직업에 대한 실제 만족과 달리 기대된 만족
▸ 기대 : 자신이 선택한 직업이 실현가능하다고 믿는 정도
▸ 힘 : 인간의 행위를 통제하는 가설적 인지요인
- 슈의 모형
▸ 브룸의 모형과 유사하나 ‘힘’의 개념을 다르게 표현
▸ 힘 : 직업결정자의 독특한 직업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최대한도의 기회를 가진 것
▸ 직업결정자의 선태과 목표 사이의 불균형을 극소화시키려고 시도한다고 가정
- 플래처의 모형
▸ 미래에 대한 개념이 기본적 인간욕구와 관련된 경험에 토대를 두며, 하나의 직업이 자기개념, 흥미, 태도 가치관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고 본다.
▸ ‘특수성 대 일반성’, ‘구체성 대 추상성’
'K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KSTUDY<직업상담> 경력개발_경력개발의 이해 알아보기 (0) | 2025.01.27 |
---|---|
KSTUDY<직업상담> 직업선택의 결정모형_처방적 직업결정/생각하는 모자 알아보기 (0) | 2025.01.26 |
KSTUDY<직업상담> 직업정보 수집 및 대안개발 알아보기 (0) | 2025.01.26 |
KSTUDY<직업상담> 직업상담 면접의 기본방법(2) 알아보기 (0) | 2025.01.25 |
KSTUDY<직업상담> 직업상담 면접의 기본방법(1) 알아보기 (0) | 2025.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