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직업정보 수집 및 대안개발의 4단계
- 제 1단계 : 직업분류 제시하기
- 제 2단계 : 대안 만들기
- 제 3단계 : 목록 줄이기
- 제 4단계 : 직업정보 수집하기
(2) 내담자가 수집한 대안목록의 직업들이 실현 불가능할 때 사용하는 상담전략
- 상담자의 견해는 내담자의 상황을 토대로 한 것이어야 한다.
- 상담자는 어떤 경우에서든 내담자를 특정 방향으로 가도록 설득할 권리가 없다는 점
- 객관적인 증거나 논리에서 추출한 것에 대해서만 이야기를 하여야 하며, 자신의 감정을 토대로 이야기x
- 최종 의사결정은 내담자의 몫, 어떤 선택을 하던 이를지지
- 브레인스토밍 과정을 통해 내담자의 대안직업 대다수가 부적절한 것임을 명확히 한다.
- 상담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그와 같은 직업들에 정서적 열정을 소모하기 전에 신속하게 개입하는 것이 중요
(3) 대안선택 과정에서 내담자가 달성해야 하는 과제
- 한 가지 선택을 하도록 준비한다. / 각각의 직업들을 평가한다.
- 평가한 직업들 가운데 한 가지를 선택한다. / 선택조건에 이른다.
(4) 선택할 직업에 대한 평가과정으로써 요스트가 제시한 방법
- 원하는 성과 연습 : 도표의 좌측에 선호사항을 우측에 고려중인 직업들의 목록을 나열하여 각 직업들의 원하는 성과 가능성 제시
- 찬반연습 : 각 직업들의 장기적·단기적 장단점을 각각의 카테고리에 작성
- 대차대조표연습 : 도표의 좌측에 가족, 건강, 재정 등을 우측에 긍정적·부정적 효과를 작성
- 확률추정연습 : 각 직업마다 나타날 수 있는 긍정적·부정적 결과를 열거하고 그 확률을 제시
- 미래를 내다보는 연습 : 미래의 어느 직업의 결과에 대해 생각하거나 동일 직업의 미래의 양상을 상상
(5) 대안개발과 의사결정시 내담자의 부정적 인지에 대한 인지치료 과정
- 제1단계 : 내담자가 느끼는 감정의 속성이 무어신지 확인한다.
- 제2단계 : 내담자의 감정과 연합된 사고, 신념, 태도 등을 확인한다.
- 제3단계 : 내담자의 사고 등을 한두 가지의 문장으로 요약·정리한다.
- 제4단계 : 내담자를 도와 현실과 사고를 조사해 보도록 개입한다.
- 제5단계 : 내담자에게 과제를 부여하여 사고와 신념들의 적절성을 검증한다.
'K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KSTUDY<직업상담> 직업선택의 결정모형_처방적 직업결정/생각하는 모자 알아보기 (0) | 2025.01.26 |
---|---|
KSTUDY<직업상담> 직업선택의 결정모형_기술적 직업결정 알아보기 (0) | 2025.01.26 |
KSTUDY<직업상담> 직업상담 면접의 기본방법(2) 알아보기 (0) | 2025.01.25 |
KSTUDY<직업상담> 직업상담 면접의 기본방법(1) 알아보기 (0) | 2025.01.25 |
KSTUDY<직업상담> 직업상담기법_내담자의 정보 및 행동에 대한 이해와 해석 알아보기 (0) | 2025.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