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STUDY

KSTUDY<직업상담> 직업상담 면접의 기본방법(1) 알아보기

by K_story 2025. 1. 25.
반응형

상담면접의 기본방법

- 일상적인 대화가 아닌 내담자의 적응을 돕기 위한 목적이 있는 대화

 

(1) 공감(감정에 대한 반영)

- 내담자가 전달하려는 내용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그 내면적 마정에 대해 반영하는 것

- 상담자 자신이 직접 경험하지 않고도 다른 사람의 감정을 거의 같은 수준으로 이해하는 능력

- 내담자의 세계를 상담자 자신의 세계인 것처럼 경험하지만 객관적인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 상담자가 내담자의 경험을 잘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언어와 태도로써 표현해 주어야 한다.

- 지금-여기에서의 내담자의 감정과 경험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 내담자의 입장에서 느끼고 생각해야 함

- 공감적 이해는 내담자의 자기 탐색과 수용을 촉진시킨다.

 

(2) 요약과 재진술(내용에 대한 반영)

- 내담자가 전달하는 이야기의 표면적 의미를 상담자가 다른 말로 바꾸어서 말하는 것

- 상담자가 내담자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면서 그를 이해하려 노력하고 있음을 전달

- 상담자는 그 내용을 좀 더 간략하게 반복함으로써 그 내용을 더욱 명확히 하는 동시에 자신의 이해를 점검

- 내담자의 이야기를 요약하고 재진술할 때는 그 내용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3) 반영

- 내담자의 말과 행동에서 표현되는 감정·생각·태도를 상담자가 다른 참신한 말로 부연하는 기술

- 내담자의 자기 이해를 도와줄 뿐만 아니라, 내담자로 하여금 자기가 이해받고 있다는 인식을 주게 된다.

- 말로 표현된 내용 자체보다는 그것의 밑바탕에 깔려 있는 감정을 그대로 되돌려주기 위해 노력해야함

- 내담자의 행동을 관찰하여 자세, 몸짓, 목소리, 눈빛 등 비언어적 행동에서 나타나는 감정까지도 반영해 주어야 함

- 감정에 대한 반영은 공감’, 내용에 대한 반영은 요약과 재진술

 

(4) 수용

- 상담자가 내담자의 이야기에 주의를 집중하고 있고, 내담자를 인격적으로 존중하고 있음을 보여 주는 기법

- 간단한 언어적 표현으로 내담자의 감정표현을 촉진시키게 된다.

- 내담자의 감정, 경험 및 잠재력에 대해 긍정적인 존중과 관심을 전달하는 것이고, 내담자를 한 인간으로서의 가치와 자유인으로서의 잠재력에 대해 매우 깊은 긍정적 존중을 전달하는 것

 

(5) 경청, 반영적 경청, 적극적 경청

- 경청 : 내담자의 말과 행동에 상담자가 선택적으로 주목하는 것, 상담자는 자신이 내담자의 말을 주목하여 듣고 있음을 전달해줄 필요가 있음.

- 반영적 경청 : 내담자가 한 말에 대해 상담자가 적절히 반응하는 것

- 적극적 경청 : 내담자가 표현하는 언어적 의미 외에 비언어적인 의미까지 이해하는 것, 자신이 수용되고 있다는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