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면접의 기본방법
- 일상적인 대화가 아닌 내담자의 적응을 돕기 위한 목적이 있는 대화
(6) 탐색적 질문
- 내담자로 하여금 자기 자신과 자신의 문제를 자유롭게 탐색하도록 함으로써 내담자의 이해를 증진시키는 개방적 질문
- 개방형 질문
- 내담자의 감정을 이끌어내기 위한 것 > 내담자로부터 정보를 얻기 위한 것
- 자기 자신과 자신의 문제를 더욱 명료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질문
- 피해야 할 질문 : 유도질문, 모호한 질문, 이중질문, 폭탄형 질문, ‘왜’질문
(7) 명료화
- 내담자의 말 속에 포함되어 있는 불분명한 측면을 상담자가 분명하게 밝히는 반응.
- 어떤 문제의 밑바닥에 깔려 있는 혼란스러운 감정과 갈등을 가려 내여 분명히 해 주는 것
- 내담자가 말한 이야기의 요점을 더욱 분명하고 명확하게 부각하는 점에서 ‘요약 및 재진술’과 차이
(8) 해석
- 내담자가 직접 진술하지 않은 내용이나 개념을 그의 과거 경험이나 진술을 토대로 하여 추론해서 말하는 것
- 내담자가 새로운 방식으로 자신의 문제들을 볼 수 있도록 사건들의 의미를 설정해 주는 것
-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문제에 대한 통찰력을 갖게 하며. 결국에는 생활 속의 사건들을 그들 스스로 해석하도록 돕는다.
- 재진술이나 명료화에서는 내담자의 내면적 심리구조가 그대로 유지되는 데 반해, 해석을 통해서는 새로운 심리구조를 제공받게 된다.
(9) 직면
- 내담자의 말이나 행동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또는 내담자의 말에 모순점이 있는 경우 상담자가 그것을 지적해 주는 것
- 내담자가 모르고 잇거나 인정하기를 거부하는 생각과 느낌에 대해 주목하도록 하는 것
- 문제를 있는 그대로 확인시켜 주어 내담자가 문제와 맞닥뜨리도록 함으로서, 내담자로 하여금 현실적인 대처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도전시키는 과정
- 내담자가 보인 객관적인 행동과 인상에 대해 서술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
(10) 저항의 처리
- 내담자가 전혀 동기화되지 않거나 저항감을 나타내는 경우 저항의 목적이 무엇인지 파악하도록 한다.
- 저항은 일종의 자기보호를 위한 노력이므로, 상담자는 내담자의 저항을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반응으로 이해, 존중
- 상담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위협을 느끼지 않도록 하며, 고통을 공감해 주도록 한다.
- 상담자는 내담자가 지속적인 저항을 보이는 경우 내담자와의 상담관계를 재점검하도록 한다.
(11) 침묵의 처리
- 상담자 개인에 대한 적대감에서 오는 저항이나 불안이 침묵의 원인일 수 있다.
- 내담자가 이전에 표현했던 감정 상태에서 생긴 피로를 회복하고 있다는 뜻
- 내담자가 상담자에게서 재확인을 바라거나 상담자의 해석 등을 기대하며 침묵에 들어갈 수 도 있다.
- 상담관계가 이루어지기도 전에 일어난 침묵은 대개 부정적이며 거절의 형태로 해석될 수 있다.
: 상담자가 자기를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한 불안에서 비롯된다.
- 내담자가 침묵할 때는 섣불리 말하지 말고 침묵의 의미를 이해한 후 말을 꺼낸다.
'K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KSTUDY<직업상담> 직업선택의 결정모형_기술적 직업결정 알아보기 (0) | 2025.01.26 |
---|---|
KSTUDY<직업상담> 직업정보 수집 및 대안개발 알아보기 (0) | 2025.01.26 |
KSTUDY<직업상담> 직업상담 면접의 기본방법(1) 알아보기 (0) | 2025.01.25 |
KSTUDY<직업상담> 직업상담기법_내담자의 정보 및 행동에 대한 이해와 해석 알아보기 (0) | 2025.01.25 |
KSTUDY<직업상담> 직업상담기법_내담자의 인지적 명확성 사정 알아보기 (0) | 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