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STUDY

KSTUDY<직업상담> 직업상담기법_내담자의 인지적 명확성 사정 알아보기

by K_story 2025. 1. 24.
반응형

인지적 명확성 이해

(1) 인지적 명확성의 의미

자기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그 평가를 환경적 상황에 연결시킬 수 있는 능력

인지적 명확성이 없는 경우 개인상담 후 직업상담 실시(개인상담도 직업상담 과정에 포함)

 

(2) 인지적 명확성 문제의 원인과 직업상담 과정

정보결핍 : 직업상담실시

고정관념 : 직업상담실시

경미한 정신건강문제 : 다른 치료 후 직업상담 실시

: 잘못된 결정방식이 진지한 결정을 방해하는 경우, 낮은 효능감이 다른 선택사항에 대한 고려를 방해하는 경우, 비논리적 사고나 다른 배제적 사고유형에서 의사결정 방해가 나타나는 경우, 공포증이나 말더듬 등의 문제가 다른 직업선택을 방해하는 경우

심각한 정신건강문제 : 다른 치료 후 직업상담 실시

외적 요인 : 개인상담 후 직업상담 실시

: 일시적 위기, 일시적 혹은 장기적 스트레스로 인한 직업문제의 집중 곤란

 

(3) 인지적 명확성을 사정하는 경우 고려사항

내담자가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 직업선택 및 적응결정을 적절히 할 수 없음.

인지적 명확성이 부족한 경우 진로문제에 대한 결정은 당분간 보류하는 것이 좋다.

직업상담에서는 상담과정을 완수하려는 내담자의 동기가 반드시 필요

직업계획이나 재적응을 생각할 때 다른 생애 역할의 맥락을 함께 고려해야함

직장을 처음 구하는 사람 또는 자신의 진로를 처음 선택하는 사람과 직업전환, 직업적응 중에 있는 사람에 대해서는 직업상담의 사정 과정이 서로 다르다

 

(4) 인지적 명확성이 부족한 내담자의 주요 유형 및 개입방법

단순 오정보 : 정보제공

복잡한 오정보 : 논리적 분석

구체성의 결여 : 구체화시키기

가정된 불가능/불가피성 : 논리적 분석, 격려

원인과 결과의 착오 : 논리적 분석

파행적 의사소통 : 저항에 다시 초점 맞추기

강박적 사고 : 합리적·정서적치료

양면적 사고 : 역설적 사고(증상의 기술)

걸러내기 : 재구조화, 역설적 기법 쓰기

비난하기 : 직면, 논리적 분석

잘못된 의사결정방식 : 불안에 대처하도록 심호흡을 시킨다. 의사결정도움을 사용한다.

자기인식의 부족 은유나 비유쓰기

무력감 : 지시적 상상

고정성 : 정보를 주기, 가정에 도전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