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STUDY

KSTUDY<직업상담> 직업상담기법_내담자 사정 알아보기

by K_story 2025. 1. 23.
반응형

내담자 사정(동기·역할, 가치, 흥미, 성격)

(1)동기·역할사정하기

-자기보고법 : 내담자 스스로 자신을 탐색하도록 하는 방법, 진로선택에 대한 중요성 및 이를 위한 자기효능감 증가

-인지적 명확성 결여에 대한 사정 : 상황의 중요성 사정, 자기효능감 기대, 결과기대, 수행에 대한 기준

-낮은 동기에 대한 대처방안 : 진로선택의 중요성, 자기효능감, 확신 증가시키기

-상호역할관계 사정 : 작업역할을 방해하는 역할들을 결정하고 부정적인 작업결과를 보상하는 역할들을 찾아내며, 보완될 역할들을 결정하는 것, 질문을 통해 사정하기, 동그라미로 역할관계 그리기, 생애-계획연습으로 전환시키기

 

(2)가치사정하기

-동기의 원천이자 개인적인 충족의 근거, ‘자신의 삶에서 무엇을 지향할 것인가

-내담자의 자기인식 발전, 현재의 직업적 상황에 대한 불만족의 근거, 역할 갈등의 근거, 저수준의 동기 또는 성취의 근거, 흥미나 성격 등에 대한 예비 사정용도, 진로선택, 직업전환의 기틀을 제시하기 위한 용도

-자기보고식 가치사정법 : 체크목록 가치에 순위 매기기, 과거의 선택 회상하기, 절정경험 조사하기, 자유시간과 금전의 사용, 백일몽 말하기, 존경하는 사람 기술하기

 

(3)흥미사정하기

-개인이 하고 싶어 하는 것이나 즐기거나 좋아하는 것의 지표

-목적 : 자기인식 발전, 직업대안 규명, 여가선호와 직업선호 구별, 직업·교육상의 불만족 원인 규명, 직업탐색 조장

-수퍼 Super가 제시한 흥미사정의 방법 : 표현된 흥미, 조작된 흥미(관찰), 조사된 흥미(표준화된 검사)

-흥미사정의 구체적인 기법 : 표현된 흥미와 조작된 흥미 유발하기, 작업경험 분석, 직업카드 분류전략, 직업선호도검사 실시, Roe의 분류체계이용, 흥미평가기법

 

(4)성격사정하기

-직업선택과 직업적응에서 핵심적인 설명변인

-목표 : 자기인식 증진, 좋아하는 일·역할·작업기능·작업환경 확인, 작업불만족의 근원 확인

-홀랜드 유형(현실형, 탐구형, 예술형, 사회형, 진취형, 관습형)

-마이어스-브릭스 성격유형 검사 MBTI : 내담자가 선호하는 작업역할, 기능, 환경을 찾아내는데 유용, 객관적 검사, 자기보고식의 강제 선택 검사

에너지의 방향(세상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 : 외향형, 내향형

인식기능(지각적 또는 정보수집적 과정) : 감각형, 직관형

판단기능(정보의 사정(평가) 또는 판단 과정) : 사고형, 감정형

생활양식 또는 이행양식(정보 박탈) : 판단형, 인식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