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STUDY

KSTUDY<직업상담> 직업의식과 직업전환상담 알아보기

by K_story 2025. 1. 28.
반응형

직업의식과 직업전환

(1) 직업의식 의의

- 주어진 시점에서의 일에 대하여 지각, 사고, 느낌을 통해 정확한 표상의 신념체계를 갖고 가치를 형성하는 것

- 다양한 신념체계에 의해 행동적인 표상인 태도를 가지며, 태도·가치·신념 등에 의해 복합적으로 표상되어 언어적으로 의견을 표현하고, 일에 대해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행동인 습관을 갖는 것

 

(2) 직업의식의 범위

- 직업에 대한 가치 : 직업의 도구성을 강조하는 외재적 가치와 직업을 통한 자기실현을 강조하는 내재적 가치로 구분

- 직업에 대한 태도 : 일 지향, 여가 지향, 사회활동 지향, 가족 지향 등으로 구분

- 직업에 대한 의견 : 전통적 영역과 비전통적 영역으로 구분

- 직업에 대한 관습 : 소명의식 · 직무몰입 등 긍정적기능과 연고주의 · 권위주위 · 남성우월주의 등 부정적인 기능을 동시에 가짐

 

(3) 직업전환 의의

- 실업이나 기타 사유로 인해 다른 직업으로 전화하는 것을 의미

- 내담자의 적성과 흥미 또는 성격이 직업적 요구와 달라 생긴 직업적응 문제를 해결하는 데 가장 적합한 방법

 

 

(4) 직업전환을 촉진하는 요인

- 전체 노동인구 중 젊은 층의 비율이 높을 경우

- 경제구조가 완전고용의 상태일 경우

- 단순직 근로자의 비율이 높을 경우

- 여성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경우

 

직업전환 상담

(1) 의의

- 실업 · 실직 위기상황에 있거나, 전직의 의도가 있는 직업인을 대상으로

- 직업경로 사항, 요구되는 전문지식, 직업전환을 위한 준비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하는 상담

 

(2) 실업자의 직업전환과 직업상담

- 직업상담에서 실업자에게 생애훈련적 사고를 갖도록 조언하고 촉구하며 참여하도록 권고하여야 한다.

- 조직에서는 청년기, 중년기, 정년 전 등 직업경력의 전환점에서 적절한 훈련 내지 조언을 실시하는 경력개발계획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 청년기 실업자는 경력, 학력, 관심사항, 직업능력 등에서 일반적인 평가방법에 의존해도 큰 무리가 없다.

- 실업자는 나이가 많을수록 취업 제의를 받는 비율이 감소한다.

- 장년층의 구직기간이 청년층에 비해 길기 때문에 성인기로 갈수록 직업전환을 고려하지 않는 경향이 많다.

 

(3) 직업전환 상담 시 고려사항

- 우선적으로 내담자의 변화에 대한 인지능력을 탐색

- 전환될 직업에 대한 기술과 능력, 나이와 건강, 직업전환에 대한 동기화 여부 등을 일차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 직업전환 상담시 내담자의 실직에 대한 충격완화, 직업선택 및 직업문제에 대한 직업상담과 직업적응을 위한 직업상담 프로그램, 의사결정을 위한 작업정보 제공, 은퇴 후의 진로경로 계획을 돕는 것이 병행되어야 한다.